최근 정부에서 앞서 예고한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중간발표자료를 내놨습니다.

 

오늘은 보다 구체적으로 정해진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

 

썸네일

 

아울러 일전에 올린 포스팅을 아래 남겨드리니, 궁금하신 분들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비교 및 중복가입 여부

현 정부가 청년공약으로 내세운 정책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가 요새 화제입니다. 비슷한 성격으로 시행 중인 청년희망적금보다 지원대상과 혜택의 폭이 훨씬 크다고 해서입니다. 그래서 오늘

wealth-wells.com


목차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을 한 줄로 요약하면?

가입할 수 있는 청년은 누구?

구체적으로 어떤 상품인가?

만기 혜택과 중도해지 시 지원받는 경우는?

언제 출시하고 어떻게 신청할 수 있나?

가입 신청 시 심사 기준은 무엇인지?

다른 지원제도와 중복지원은 가능한가?

정부에서 추가적으로 협의 중인 사항들은?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을 한 줄로 요약하면?

이번에 정부에서 발표한 청년도약계좌의 구체적인 혜택 수준을 한 줄로 요약해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가입 후 5년 동안 40~70만 원 매월 납입 시 약 5천만 원 수령 가능

 

그럼 세부적으로 어떤 내용일까요?


가입할 수 있는 청년은 누구?

 

아래의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 나이: 만 19세 ~ 39세 사이

✔️ 소득

-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이전에 올린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및 최저보장 수준 인상(기초생활수급자) 선정기준, 신청방법

오늘은 인상된 내년도 중위소득과 이와 연결되어 인상된 최저보장 수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함께 읽으면 좋은 이전 포스팅 링크도 남겨드

wealth-wells.com


구체적으로 어떤 상품인가?

이번 청년도약계좌는 기본적으로 5년 만기 적금상품입니다.

 

매월 납입액은 40~70만 원이고, 

 

청년이 본인의 청년도약계좌에 매월 납입금을 적립하면, 정부에서 최대 2만 4천 원까지 추가 적립하는 형태입니다.

 

개인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의 추가 적립금이 다른데,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 붙임파일로 남겨드립니다. 

 

<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정부 지원금 수준 >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수준.png
0.61MB

 

금리 수준은 가입 후 3년까지는 고정 금리이고, 이후 금리는 시중의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금리의 경우에는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우대금리가 적용될 예정이고,

 

군복무 중인 청년의 경우에는 최대 6년까지 기간 계산 시 제외되는 혜택을 준다고 합니다.


만기 혜택과 중도해지 시 지원받는 경우는?

최종 만기시 본인의 적립금과 정부 적립금 그리고 이자를 한꺼번에 받으며, 이자는 비과세 적용됩니다.

 

다만, 중도해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일 그런 상황일지라도, 아래에 해당사항이 있다면, 중도해지 시에도 불이익이 없습니다.

 

즉, 중도해지 시까지 지원받은 정부적립금과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퇴직
- 가입자가 근로 중인 사업장의 폐업
- 천재지변
- 질병에 따른 장기치료
- 생애최초 주택 구입 등

언제 출시하고 어떻게 신청할 수 있나?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중 출시 예정입니다.

 

가입방법은 상품 출시를 약속한 국내 금융사의 어플을 통해 비대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가입 신청 시 심사 기준은 무엇인지?

앞서 가입대상 청년의 조건으로 나이와 개인별, 가구별 소득 수준을 기준으로 제시했습니다.

 

여기서 소득 수준에 대한 조사를 신청과 동시 진행하게 되는데, 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구원 확인 기준일: 상품 가입 신청 당시
- 개인, 가구 소득 확인 기준: 직전 과세기간(2022년)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2021년도 소득 기준으로 판단
-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개인별 소득을 재검토(☞ 변동시 정부적립금 규모와 지원여부 재판단) 

다른 지원제도와 중복지원은 가능한가?

이번 발표에서 정부는 정책의 취지가 청년들을 위한 금융 지원을 보다 두텁게 지원하기 위함이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다른 청년 금융 상품이나 고용지원 상품과도 중복 지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특히, 거의 같은 유형의 상품인 청년희망적금의 가입자라면, 해당 상품이 만기 되면, 청년도약계좌에도 가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부에서 추가적으로 협의 중인 사항들은 무엇?

현재 정부에서 청년도약계좌의 상품성 강화를 위해 금융기관과 협의 중이라고 밝힌 사안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현재 3년 한도인 고정금리 지원기간의 연장

- 개인소득 수준이 2천4백만 원 이하인 청년을 위한 특별 우대금리 지원 여부

- 시급한 경제사정으로 해약하는 상황이라면, 예적금담보부대출 가능 여부 

- 예적금담보부대출 지원 확정시, 대출이자에 대한 수준 여부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아래의 3개 기관에서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문의사항에 대해 응답할 수 있습니다.

 

기관명 연락처
서민금융진흥원 청년금융지원부 02-2128-8216
금융위원회 청년정책과 02-2100-1684
은행연합회 디지털혁신부 02-3705-5326

오늘은 6월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에 보다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1,200만원 목돈 마련) - 달라진 점, 신청방법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1,200만 원 목돈 마련) - 달라진 점, 신청방법 오늘은 새해가 되면서 달라진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전에 이미 포스팅 올린적 있는데, 한번에 쭉

wealth-wells.com

 

2023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지원(1,200만원) - 신청방법, 지원대상

2023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지원(1,200만원) - 신청방법, 지원대상 요즘 청년 구직자를 찾기 어려운 중소기업들이 많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청년들은 중소기업에서 일하기 꺼려하는 분

wealth-wells.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